말랑부크 그림책놀이의
두뇌발달 과학적 근거
T H E O R Y
"말랑부크 그림책놀이는 최신 신경과학 연구를 바탕으로, 아이들의 두뇌가 가장 활발하게
발달하는 시기에 최적의 자극을 제공합니다.
즐거움을 통한 학습, 다감각 자극,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들의 인지,
언어, 사회성, 정서 발달을
통합적으로 지원합니다."
그림책 읽기의
두뇌발달 효과
"그림책 한 권으로
활성화되는 아이의 두뇌"
📕 전두엽 활성화와 인지능력 발달
그림책을 함께 읽는 활동은 아이의 전두엽을 적극적으로 자극하여 인지 발달의 토대를 마련합니다.
일상적인 그림책 읽기가 가져오는 신경학적 변화는 아이의 전생애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Moriguchi 연구팀 (2009), 신경과학 연구
<Frontal brain activation in young children during picture book reading – 광학적 뇌 영상 분석>
- Kuhl & Kuhl (2022), 뇌 발달 연구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language acquisition – 언어 습득 메커니즘 분석>
- Hutton 연구팀 (2018), 소아과학 연구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Brain Activation in Preschool Children Listening to Stories – 가정 독서 환경의 영향>
📗 신경 동기화와 언어능력 향상
부모와 아이가 함께 책을 읽을 때 발생하는 뇌 활동의 동기화는 언어 발달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신경 회로는 언어 습득과 소통 능력의 기초가 됩니다.
- Liu 연구팀 (2023), 신경인지 연구
<Neural synchrony underlies the positive effect of shared reading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 모자간 뇌 동기화 분석>
- Romeo 외 (2021), 발달신경과학 연구
<Shared neural correlates for building vocabulary in children – 어휘력 발달 신경 상관관계>
- Lytle 연구팀 (2020), 아동발달 연구
<Parent-child neural synchronization: A novel approach to language acquisition – 언어 습득 신경 메커니즘>
📘 뇌의 다중 영역 활성화
그림책은 시각, 청각, 언어, 정서 등 뇌의 여러 영역을 동시에 자극하는 완벽한 도구입니다.
이러한 통합적 자극은 아이의 뇌가 더욱 풍부한 연결망을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Kuhl 연구소 (I-LABS, 2022), 학습과학 연구
<Multi-modal stimulation and brain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 다중감각 자극 효과>
- Horowitz-Kraus 연구팀 (2019), 인지신경과학 연구
<Functional connectivity in the reading brain across modalities – 독서 중 뇌 연결성 분석>
- Dehaene 연구그룹 (2015), 신경언어학 연구
<Reading acquisition and the neural circuits of visual word processing – 읽기 습득과 신경 회로>
플래시 카드
교육의 효과
"플래시 카드는
유아 교육에서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도구로
널리 사용됩니다. "
시각적 자극과 반복적 학습을 통해 다양한
발달 영역을 지원하는 플래시 카드는
특히 어휘력 향상과 언어 인지 발달, 집중력,
인지 처리 속도, 사고력, 정서적 유대감, 사회성,
그리고 창의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어휘력 향상과 언어 인지 발달
플래시 카드는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해 유아가 단어를 빠르게 습득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반복적이고 직관적인 학습 구조는 유아의 기억 전략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며, 이는 읽기와
말하기 능력의 기초가 됩니다
-Purnama Sari 외 (2023), 연구 논문
<Flashcards to Improve Early Childhood English Alphabet Recognition* – ResearchGate>
- Nakata, T. (2020), 학술 서적 챕터
<Learning Words with Flash Cards and Word Cards, in* *The Routledge Handbook of Vocabulary Studies>
- E.E. Smith & S.M. Kosslyn (2006), 인지심리학 교과서
<Cognitive Psychology: Mind and Brain – 장기 기억 전환 메커니즘 설명>
- A. Paivio (1971), 이론 논문
<Dual Coding Theory and Education* – 이미지와 언어의 병렬 처리로 인한 기억 강화>
📗 집중력, 인지 처리 속도, 사고력 발달
카드를 빠르게 인식하고 반응하는 과정은
아이의 집중력을 기르고, 인지 처리 속도를
높입니다. 또한 패턴을 인식하고 순서를
구성하는 활동은 논리적 사고력, 이야기 구성력,
문제 해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이는 초기 사고의 유연성과 깊이를 길러주는
기초가 됩니다.
- Asmodilasti & Suparno (2017), 연구 논문
<The Influence of Flashcards on Cognitive Ability of Early Childhood* – Atlantis Press >
- Maryanto & Chrismastianto (2018), 연구 논문
<Developing Story Structures Using Flashcards* – 디지털 커뮤니티 저널>
- R.S. Siegler (1998), 발달심리학 이론서
<Emerging Minds: The Process of Change in Children’s Thinking*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설명>
- G. Lakoff & M. Johnson (1980), 인지 언어학 이론서
<Metaphors We Live By* – 패턴 인식과 사고력의 은유적 발달>
- Howard Gardner (1983), 심리학 이론서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 시각·공간 지능 강화 효과>
📘 정서적 유대감, 사회성, 창의적 연상 능력
플래시 카드는 부모 또는 교사와의 따뜻한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유아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기술 발달을 돕습니다. 또한 이미지와
단어를 연관시키는 활동은 창의성과 연상력을
길러, 학습 내용을 더 풍부하게 받아들이게
합니다.
- J. Bowlby (1969), 애착 이론서**
<Attachment and Loss* –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 안정>
- S.M. Smith, T.B. Ward, R.A. Finke (1995), 창의적 인지 이론서
<The Creative Cognition Approach* – 연상 학습과 창의적 기억 향상> - Nakata, T. (2020), 학술 서적 챕터
<Learning Words with Flash Cards and Word Cards* – 반복 학습을 통한 학습 전략 형성>
작업 기억 능력을
발달시키는
기억놀이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은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여 다양한 인지적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입니다. 영유아기의 작업 기억은 학습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언어 발달, 문제 해결 능력,
주의력 및 전반적인 학습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전전두엽-두정엽 네트워크 강화
📕 작업 기억 훈련은 정보 처리와 저장을 담당하는 뇌 영역을 직접적으로 강화합니다. 이 네트워크의 발달은 모든
학습 활동의 기초가 됩니다.
* Klingberg 연구팀 (2002), 신경인지 연구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
카롤린스카 연구소, 스웨덴
* Spencer-Smith & Klingberg (2015), 메타분석 연구
Benefits of a working memory training program for inattention in daily life – 작업기억 훈련 효과
* Olesen 외 (2004), 신경영상 연구
Increased prefrontal and parietal activity after training of working memory – 훈련 후 뇌 활성화 변화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작업 기억 능력은 수학, 읽기, 이해력 등
주요 학습 영역의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작업 기억 훈련은 학업 성공의 토대를 마련합니다.
* Alloway & Alloway (2010), 인지발달 연구
Working memory as a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
더럼 대학, 영국
* Gathercole 외 (2008), 교육심리학 연구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 읽기 장애와
작업기억 관계
* Holmes & Adams (2006), 수학교육 연구
Working memory and children's mathematical skills – 작업기억과
수학 능력 상관관계
주의력 향상 효과
📘 작업 기억 훈련은 아이의 주의 집중력과
산만함 조절 능력을 향상시켜,
효과적인 학습의 기초를 마련합니다.
* Klingberg 연구팀 (2005), 임상신경심리학 연구
Computerized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 주의력 향상 효과
* Stevens 외 (2011), 주의력 연구
Neural mechanisms of attention training in childhood – 주의력 훈련
신경 메커니즘
* Diamond & Lee (2011), 실행기능 연구
Interventions shown to aid executive function development in children – 실행기능 향상 중재 효과
💡Point
영유아기의 작업 기억 능력은 학습과 인지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작업 기억은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언어 발달,
문제 해결, 주의 집중 등에 기여합니다.
이 분야의 주요 학자들은 작업 기억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하였으며,
이들의 연구는 교육과 발달 심리학에서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크래프트
놀이 활동의
중요성
아동의 즐거움과 놀이가 두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즐거운 놀이는 뇌의
가장 강력한 자극제입니다"
📕 도파민 시스템과 인지 유연성
즐거운 경험은 단순한 감정을 넘어 두뇌 발달의 화학적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놀이를 통해 분비되는 도파민은
학습 동기와 인지 유연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 Ashby & Isen (1999), 신경심리학 연구
A neuropsychological theory of positive affect and its influence on cognition – 긍정적 감정의 인지 영향
* Burgdorf & Panksepp (2006), 정서신경과학 연구
The neurobiology of positive emotions and reward –
긍정 정서의 신경생물학
* Diamond 연구팀 (2020), 실행기능 연구
Executive functions and the brain: How joy enhances cognitive control – 즐거움의 인지 향상 효과
📗 자유 놀이와 전두엽 피질 발달
구조화되지 않은 자유 놀이는 아이의 전두엽 발달에
필수적인 자극을 제공합니다. 놀이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상호작용과 의사결정은 실행 기능의 토대를 형성합니다.
* Pellis 연구팀 (2018), 행동신경과학 연구
Play-induced neuroplasticity in the prefrontal cortex –
알버타 레스브리지 대학
* Brown & Vaughan (2010), 놀이연구 저서
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 놀이의 뇌 발달 영향
* Yogman 외 (2018), 소아과학 연구
The Power of Play: A Pediatric Role in Enhancing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 미국소아과학회
📘 신경가소성과 놀이의 관계
놀이는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촉진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놀이 중 형성되는 신경 연결망은 평생의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 Panksepp 연구팀 (2010), 신경과학 연구
The genetics of play: Neurogenetic studies in rats – 워싱턴 주립대학
* Lester & Russell (2014), 신경가소성 연구
Play, neuroplasticity and executive function development – 놀이 기반 신경가소성
* Frost 연구그룹 (2017), 발달심리학 연구
The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ful learning – 놀이 학습의 발달적 이점
💡
말랑부크 그림책놀이는 이러한
학술적 근거와 아이의 일상에 닿는
따뜻한 놀이를 연결하여, 아이들의 언어, 사고,
정서 모두가 고르게 자라나는 공간을 만듭니다.
말랑부크 그림책놀이의 두뇌발달 과학적 근거
T H E O R Y
"말랑부크 그림책놀이는 최신 신경과학 연구를 바탕으로,
아이들의 두뇌가 가장 활발하게 발달하는 시기에 최적의 자극을 제공합니다.
즐거움을 통한 학습, 다감각 자극,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들의 인지, 언어, 사회성, 정서 발달을 통합적으로 지원합니다."
그림책 읽기의
두뇌발달 효과
"그림책 한 권으로 활성화되는 아이의 두뇌"
📕 전두엽 활성화와 인지능력 발달
그림책을 함께 읽는 활동은 아이의 전두엽을 적극적으로 자극하여 인지 발달의 토대를 마련합니다.
일상적인 그림책 읽기가 가져오는 신경학적 변화는 아이의 전생애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Moriguchi 연구팀 (2009), 신경과학 연구
<Frontal brain activation in young children during picture book reading – 광학적 뇌 영상 분석>
- Kuhl & Kuhl (2022), 뇌 발달 연구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language acquisition – 언어 습득 메커니즘 분석>
- Hutton 연구팀 (2018), 소아과학 연구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Brain Activation in Preschool Children Listening to Stories – 가정 독서 환경의 영향>
📗 신경 동기화와 언어능력 향상
부모와 아이가 함께 책을 읽을 때 발생하는 뇌 활동의 동기화는 언어 발달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신경 회로는 언어 습득과 소통 능력의 기초가 됩니다.
- Liu 연구팀 (2023), 신경인지 연구
<Neural synchrony underlies the positive effect of shared reading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 모자간 뇌 동기화 분석>
- Romeo 외 (2021), 발달신경과학 연구
<Shared neural correlates for building vocabulary in children – 어휘력 발달 신경 상관관계>
- Lytle 연구팀 (2020), 아동발달 연구
<Parent-child neural synchronization: A novel approach to language acquisition – 언어 습득 신경 메커니즘>
📘 뇌의 다중 영역 활성화
그림책은 시각, 청각, 언어, 정서 등 뇌의 여러 영역을 동시에 자극하는 완벽한 도구입니다.
이러한 통합적 자극은 아이의 뇌가 더욱 풍부한 연결망을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Kuhl 연구소 (I-LABS, 2022), 학습과학 연구
<Multi-modal stimulation and brain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 다중감각 자극 효과>
- Horowitz-Kraus 연구팀 (2019), 인지신경과학 연구
<Functional connectivity in the reading brain across modalities – 독서 중 뇌 연결성 분석>
- Dehaene 연구그룹 (2015), 신경언어학 연구
<Reading acquisition and the neural circuits of visual word processing – 읽기 습득과 신경 회로>
플래시 카드
교육의 효과
플래시 카드는 유아 교육에서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도구로 널리 사용됩니다.
시각적 자극과 반복적 학습을 통해 다양한 발달 영역을 지원하는 플래시 카드는
특히 어휘력 향상과 언어 인지 발달, 집중력, 인지 처리 속도, 사고력,
정서적 유대감, 사회성, 그리고 창의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어휘력 향상과 언어 인지 발달
플래시 카드는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해 유아가 단어를 빠르게 습득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반복적이고 직관적인 학습 구조는 유아의 기억 전략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며,
이는 읽기와 말하기 능력의 기초가 됩니다
-Purnama Sari 외 (2023), 연구 논문
<Flashcards to Improve Early Childhood English Alphabet Recognition* – ResearchGate>
- Nakata, T. (2020), 학술 서적 챕터
<Learning Words with Flash Cards and Word Cards, in* *The Routledge Handbook of Vocabulary Studies>
- E.E. Smith & S.M. Kosslyn (2006), 인지심리학 교과서
<Cognitive Psychology: Mind and Brain – 장기 기억 전환 메커니즘 설명>
- A. Paivio (1971), 이론 논문
<Dual Coding Theory and Education* – 이미지와 언어의 병렬 처리로 인한 기억 강화>
📗 집중력, 인지 처리 속도, 사고력 발달
카드를 빠르게 인식하고 반응하는 과정은 아이의 집중력을 기르고,
인지 처리 속도를 높입니다. 또한 패턴을 인식하고 순서를 구성하는 활동은
논리적 사고력, 이야기 구성력, 문제 해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이는 초기 사고의 유연성과 깊이를 길러주는 기초가 됩니다.
- Asmodilasti & Suparno (2017), 연구 논문
<The Influence of Flashcards on Cognitive Ability of Early Childhood* – Atlantis Press >
- Maryanto & Chrismastianto (2018), 연구 논문
<Developing Story Structures Using Flashcards* – 디지털 커뮤니티 저널>
- R.S. Siegler (1998), 발달심리학 이론서
<Emerging Minds: The Process of Change in Children’s Thinking*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설명>
- G. Lakoff & M. Johnson (1980), 인지 언어학 이론서
<Metaphors We Live By* – 패턴 인식과 사고력의 은유적 발달>
- Howard Gardner (1983), 심리학 이론서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 시각·공간 지능 강화 효과>
📘 정서적 유대감, 사회성, 창의적 연상 능력
플래시 카드는 부모 또는 교사와의 따뜻한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유아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기술 발달을 돕습니다. 또한 이미지와 단어를 연관시키는 활동은 창의성과
연상력을 길러, 학습 내용을 더 풍부하게 받아들이게 합니다.
- J. Bowlby (1969), 애착 이론서**
<Attachment and Loss* –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 안정>
- S.M. Smith, T.B. Ward, R.A. Finke (1995), 창의적 인지 이론서
<The Creative Cognition Approach* – 연상 학습과 창의적 기억 향상>
- Nakata, T. (2020), 학술 서적 챕터
<Learning Words with Flash Cards and Word Cards* – 반복 학습을 통한 학습 전략 형성>
💡말랑부크 그림책놀이는 이러한 학술적 근거와 아이의 일상에 닿는 따뜻한 놀이를 연결하여,
아이들의 언어, 사고, 정서 모두가 고르게 자라나는 공간을 만듭니다.
작업 기억 능력을
발달시키는 기억놀이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은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여
다양한 인지적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입니다. 영유아기의 작업
기억은 학습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언어 발달, 문제 해결 능력,
주의력 및 전반적인 학습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전전두엽-두정엽 네트워크 강화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작업 기억 훈련은 정보 처리와 저장을 담당하는 뇌 영역을 직접적으로 강화합니다. 이 네트워크의 발달은 모든 학습 활동의 기초가 됩니다.
* Klingberg 연구팀 (2002), 신경인지 연구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 카롤린스카 연구소, 스웨덴
* Spencer-Smith & Klingberg (2015), 메타분석 연구
Benefits of a working memory training program for inattention in daily life – 작업기억 훈련 효과
* Olesen 외 (2004), 신경영상 연구
Increased prefrontal and parietal activity after training of working memory – 훈련 후 뇌 활성화 변화
📗 작업 기억 능력은 수학, 읽기, 이해력 등 주요 학습 영역의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작업 기억 훈련은 학업 성공의 토대를 마련합니다.
* Alloway & Alloway (2010), 인지발달 연구
Working memory as a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 더럼 대학, 영국
* Gathercole 외 (2008), 교육심리학 연구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 읽기 장애와 작업기억 관계
* Holmes & Adams (2006), 수학교육 연구
Working memory and children's mathematical skills – 작업기억과 수학 능력 상관관계
주의력 향상 효과
📘 작업 기억 훈련은 아이의 주의 집중력과 산만함 조절 능력을 향상시켜,
효과적인 학습의 기초를 마련합니다.
* Klingberg 연구팀 (2005), 임상신경심리학 연구
Computerized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 주의력 향상 효과
* Stevens 외 (2011), 주의력 연구
Neural mechanisms of attention training in childhood – 주의력 훈련 신경 메커니즘
* Diamond & Lee (2011), 실행기능 연구
Interventions shown to aid executive function development in children – 실행기능 향상 중재 효과
💡Point
영유아기의 작업 기억 능력은 학습과 인지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작업 기억은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언어 발달, 문제 해결, 주의 집중 등에 기여합니다.
이 분야의 주요 학자들은 작업 기억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하였으며,
이들의 연구는 교육과 발달 심리학에서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크래프트
놀이 활동의
중요성
아동의 즐거움과 놀이가 두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즐거움과 놀이는 뇌의 가장 강력한 자극제입니다"
📕 도파민 시스템과 인지 유연성
즐거운 경험은 단순한 감정을 넘어 두뇌 발달의 화학적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놀이를 통해 분비되는 도파민은 학습 동기와 인지 유연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 Ashby & Isen (1999), 신경심리학 연구
A neuropsychological theory of positive affect and its influence on cognition – 긍정적 감정의 인지 영향
* Burgdorf & Panksepp (2006), 정서신경과학 연구
The neurobiology of positive emotions and reward – 긍정 정서의 신경생물학
* Diamond 연구팀 (2020), 실행기능 연구
Executive functions and the brain: How joy enhances cognitive control – 즐거움의 인지 향상 효과
📗 자유 놀이와 전두엽 피질 발달
구조화되지 않은 자유 놀이는 아이의 전두엽 발달에 필수적인 자극을 제공합니다.
놀이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상호작용과 의사결정은 실행 기능의 토대를 형성합니다.
* Pellis 연구팀 (2018), 행동신경과학 연구
Play-induced neuroplasticity in the prefrontal cortex – 알버타 레스브리지 대학
* Brown & Vaughan (2010), 놀이연구 저서
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 놀이의 뇌 발달 영향
* Yogman 외 (2018), 소아과학 연구
The Power of Play: A Pediatric Role in Enhancing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 미국소아과학회
📘 신경가소성과 놀이의 관계
놀이는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촉진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놀이 중 형성되는 신경 연결망은 평생의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 Panksepp 연구팀 (2010), 신경과학 연구
The genetics of play: Neurogenetic studies in rats – 워싱턴 주립대학
* Lester & Russell (2014), 신경가소성 연구
Play, neuroplasticity and executive function development – 놀이 기반 신경가소성
* Frost 연구그룹 (2017), 발달심리학 연구
The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ful learning – 놀이 학습의 발달적 이점
💡말랑부크 그림책놀이는 이러한 학술적 근거와 아이의 일상에 닿는 따뜻한 놀이를 연결하여,
아이들의 언어, 사고, 정서 모두가 고르게 자라나는 공간을 만듭니다.
우리 몸 대부분의 감각이 급격한 발달을 이루는 영유아기는
두뇌발달의 최적기라고 많은 전문가들은 이야기합니다.
많은 논문들로 입증된 시냅스 가소성 이론을 통해
그림책으로 두뇌의 기억력과 집중력이 발달되는 과정은 이렇습니다.
우리의 뇌가 하는 일은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뉴런을 통해 모두 이루어집니다.
사람의 뇌는 출생 시 600억~1000억 개에 가까운 뉴런이 있다고 합니다.
뉴런과 뉴런을 연결하는 부분을 시냅스라고 합니다
1억 개의 뉴런에는 수천억 개 이상의 시냅스가 존재합니다.
시냅스는 우리 몸이 정보를 처리하고 통합하는 기능을 하며,
감각기관이 자극되고 반응하고 기억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시냅스 가지치기(Synaptic pruning )
뇌가 환경에 더 잘 적응 할 수 있게 리모델링 하는 작업으로
시냅스는 3살까지 가장 급격하게 발달하다
점차 자주 사용하는 기억들은 강하게 남기고
사용하지 않는 기억들은 잘라내며
10살 정도에는 시냅스가 대략 50% 정도로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
가지치기를 반복하며 안정화된 시냅스는 “활성” 정도에 따라
지속적 변화를 겪는데 이 시기에는 학습 및 기억 과정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시냅스의 활성은 자극에 따라 달라집니다.
독서를 통한 다양한 주제와 많은 이야기들의 간접 경험들은
다양한 배경 지식들이 되고 이는 어휘력과 문해력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즉 이러한 자극들은 집중력을 길러주고 자극에 따라
뇌의 시냅스의 증가로도 이어져 기억력의 발달로 이어지게 됩니다.
말랑부크 두뇌발달 그림책놀이
Tel. 070-8019-1762 |boocbook@naver.com
Daejeon, Korea | Biz License 688-96-01743
Hosting by Imweb